본문 바로가기

Linux36

해커스쿨 F.T.Z Training 3 Training 3에서는 터미널(콘솔)과 네트워크에 관한 명령어와 현재 서버에 어떤 사람들이 접속해 있는지 보고 그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방법을 배운다. 터미널(콘솔) 텔넷을 통해 해커스쿨 서버에 접속한 것을 "터미널을 통해 접속했다."라고 한다. 또한, 직접 컴퓨터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부팅하여 로그인한 것을 "콘솔을 통해 접속했다."라고 한다. 터미널과 콘솔, 두 용어는 같은 의미이긴 하지만 위와 같은 차이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한다. 터미널이란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서로 소통시켜주는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란 텍스트 기반(CLI)과 그래픽 기반(GUI) 두 가지를 기반을 포함하는 용어이지만 리눅스 터미널은 텍스트 기반을 말한다. 터미널은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해서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 2020. 2. 1.
해커스쿨 F.T.Z Training 2 Training 2에서는 디렉터리와 디렉터리 간의 이동, 새로운 디렉터리의 형성, 삭제, 파일의 복사, 이동, 삭제 등에 대해 배운다. pwd (Print Working Directory) pwd 는 현재 경로가 출력되는 명령어다. 현재 디렉터리는 /home/trainer2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윈도우에서 폴더를 열었을 때 위치를 말하는 것과 같다. cd (Change Directory) cd는 현재 디렉터리를 바꾸는 명령어다. 사용방법 의미 cd .. 한 단계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trainer2 /trainer2 디렉터리로 이동 cd /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home/trainer2 /home/trainer2 디렉터리로 이동 cd ~ 자신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trainer2는.. 2020. 1. 31.
해커스쿨 F.T.Z Training 1 Training 1에서는 프롬프트의 아주 간단한 설명과 명령어 ls, ls 옵션에 대해 배운다. 프롬프트(Prompt) 리눅스에 접속하면 프롬프트란 것이 나타난다. 프롬프트란 [En_Geon@tistory trainer 1]$ 이것을 의미한다. 프롬프트가 나온다는 것은 리눅스 서버에 성공적으로 로그인을 했다는 의미다. [En_Geon@tistory trainer 1]$ 이 프롬프트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렇다. 의미 En_Geon 접속 ID tistory 서버 Trainer 1 현재 위치 프롬프트란 것은 항상 대기상태에서 어떤 명령을 내리기만을 기다린다. 즉,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서 기다리고 있다고 알려주는 메시지다. ls (List) ls 명령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컴퓨터에 설치된 폴더.. 2020. 1. 31.
해커스쿨 F.T.Z Trainer Service 해커스쿨 F.T.Z Trainer Service는 시작에서도 말했듯이 리눅스 기본 명령어에 대해 학습하고 바로 실전에 옮겨 볼 수 있는 곳이다. Training 과정은 총 10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정해진 과정을 모두 학습 하게 되면 다음 과정으로의 비밀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해커스쿨 F.T.Z Trainer Service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커스쿨 F.T.Z 로컬서버 구축을 한 후 PuTTY로 접속해야 한다. 해커스쿨 F.T.Z 로컬서버 구축 방법 서버에 접속하면 로그인을 해야 한다. 해커스쿨 Trainer Service 로그인 방법 로그인 방법에 들어가면 Trainer Service와 Hacking Zone의 로그인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2020. 1. 30.
해커스쿨 F.T.Z 로컬서버 구축 이곳에서는 해커스쿨 F.T.Z에 대한 간단한 내용과 해커스쿨 F.T.Z 구축방법 및 이후 포스팅 계획을 설명한다. 이미 생활코딩의 리눅스 강좌에서 많을 것을 배웠을 것이다.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수업을 마치며에서 이렇게 말한다. '리눅스에 초심자이고, 빠른 속도로 이 지점까지 도착하셨다면 너무 많은 것을 배운 것입니다. 너무 많은 지식은 우리의 머리를 복잡하게 합니다. 머리가 복잡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제 복잡해진 머릿속을 잘 정리 정돈 하셔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다시 수업의 초반으로 돌아가서 리눅스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수련할 때입니다.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실 때입니다.' 이 말은 본인의 생각과 같은 생각으로 Hacking Zone으로 바로 넘어가지 않고 Trainer Se.. 2020. 1. 30.
해커스쿨 F.T.Z 시작 해커스쿨 F.T.Z 포스팅을 시작하기에 앞서 정보공유를 하려 한다. 코딩을 처음 배우고 있으며 얼마 되지 않았다. Linux를 들어보기만 하고 직접 다뤄본 것은 처음이다. 아직 모르는 것이 더 많으므로 이해한 만큼 가능한 한 자세히 표현하려 한다. Linux의 시작은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를 통해 시작하게 되었다. 생활코딩의 리눅스 강좌는 인프런에도 무료로 공개되어 있어 편한 곳을 선택하면 된다. 생활코딩 인프런 유튜브 위 강좌를 마무리 후 시스템 해킹 기초 튜토리얼인 해커스쿨의 F.T.Z를 진행하였다. 해커스쿨의 F.T.Z의 대한 내용은 해커스쿨 * 카테고리를 통해 포스팅할 것이다. 컴퓨터와 코딩에 입문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아직 모르는 것이 더 많고 강좌 독학과 질문, 구글링을 통해 얻은 포스팅이므.. 2020.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