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5

[SK shieldus Rookies 19기][SQL] - 실습 환경 구성 1. SQL 설치 SQL 설치는 자세한 설명이 있는 강사님 블로그를 참고해 설치한다. 2. 테이블 설정 실습에 필요한 테이블을 설정한다. create schema sampledb default character set utf8; use sampledb; create table members ( member_id int(11) not null auto_increment comment '회원 아이디', member_namevarchar(100)not null comment'회원 이름', member_ageint(3)comment '회원 나이', member_emailvarchar(100)comment '회원 이메일', primary key(member_id) ); 1) 테스트 데이터 use sampledb;.. 2024. 3. 19.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정규 표현식 1. 정규 표현식 복잡한 문자열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기법, 줄여서 정규식이라고도 말한다. 주민번호 뒷자리를 바뀔 때 *이 나오는 것을 정규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1) 시작 (1) 메타 문자 원래 그 문자가 가긴 뜻이 아니라 특별한 의미를 가진 문자를 의미 . ^ $ * + ? { } [ ] \ | ( ) (2) [ ] 문자 클래스 문자 클래스로 만들어진 정규식은 '[' 와 ']' 사이의 문자들과 매치라는 의미 문자 클래스를 만드는 메타 문자인 [ ] 사이에는 어떤 문자도 들어갈 수 있다. 정규식이 [abc]라면 'a, b, c" 중 한 개의 문자와 매치라는 뜻이다. 정규식 문자열 매치 여부 설명 [abc] a O "a"는 정규식과 일치하는 문자인 "a"가 있으므로 매치 before O "before".. 2024. 3. 19.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내장 함수, 표준 라이브러리, 외부 라이브러리 Faker 1. 내장 함수 파이썬 모듈과 달리 import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만들려는 프로그램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미 만들어진 것을 대시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면 누군가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을 다시 만드는 것은 시간 낭비고, 그 프로그램은 이미 테스트 과정을 수없이 거쳤기 때문에 충분이 검증되어 있다.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abs abs(x)는 어떤 숫자를 입력받았을 때 그 숫자의 절댓값을 리턴하는 함수 print(abs(-3)) print(abs(-1.2)) 출력 : 3 출력 : 1.2 all all(x)는 반복 가능한 데이터 x를 입력값으로 받아 x의 요소가 모두 참이면 True, 거짓이 하나라도 있으면 Fa.. 2024. 3. 18.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클래스, 모듈, 패키지, 오류 처리 1. 클래스 똑같은 무언가를 계속 만들어 낼 수 있는 설계도면(과자 틀) result = 0 def add(num): global result result += num # 결괏값(result)에 입력값(num) 더하기 return result # 결괏값 리턴 print(add(3)) print(add(4)) 이전에 계산한 결괏값을 유지하기 위해서 result 전역 변수를 사용 한 프로그램에서 2대의 계산기가 필요한 상황이면 add 함수 하나로는 결괏값을 따로 유지할 수 없다. result1 = 0 result2 = 0 def add1(num): # 계산기1 global result1 result1 += num return result1 def add2(num): # 계산기2 global result2 r.. 2024. 3. 18.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실습 2 1. 성적 데이터 파일을 읽어서 이름, 과목별 점수, 합계, 평균 정보 출력 출력 예시 이 름 국어 영어 수학 합계 평균 ====== ==== ==== ==== ==== ==== 홍길동 100 90 80 270 90 신길동 90 70 60 220 73 ⇐ 평균은 반올림 고길동 60 100 20 180 60 성적 데이터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성적 데이터 파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score_data.txt 파일에 이름과 성적을 적어 성적 데이터를 만들어 준다. 더보기 def calurate_sum(scores): sum = 0 for score in scores: sum += int(score) return sum def calurate_average(scores): return int(calurate_s.. 2024. 3. 17.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함수, 파일 1. 함수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수 그 결과물을 내어 놓는 것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괏값을 리턴해 준다라는 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다. 1) 구조 def 함수_이름(매개변수) :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 함수 이름은 함수를 만드는 사림이 임의로 만들 수 있음 매개변수는 이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되는 값을 받는 변수 이렇게 함수를 정의한 수 함수에서 수행할 문장을 입력 def add(a, b) : return a + b 위 함수의 이름은 add고 입력으로 2개의 값을 받으며 리턴값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 2024. 3. 17.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실습 1 1. 연령별 BMI 지수에 따른 위험도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 BMI 나이 ~ 21 22 ~ ~ 44 낮음 중간 45 ~ 중간 높음 더보기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 bmi = int(input("BMI 지수를 입력하세요 : ")) if age = 22 : print("위험도 : 중간") elif age >= 45 and bmi = 45 and bmi >= 22: print("위험도 : 높음") if - elif 문을 사용해 모든 경우의 수를 조건문에 넣어 원하는 출력값을 정한다. 마지막 elif는 el.. 2024. 3. 17.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조건문, 반복문 1. if 문 대표적인 조건문으로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쓰임 1) 기본 구조 if 조건문 : 수행할_문장 1 수행할_문장 2 else : 수행할_문장 A 수행할_문장 B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참이면 if 문 바로 다음 문장(if 블록)들을 수행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 문 다음 문장(else 블록)들을 수행 else 문은 if 문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if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이 붙는다. 2) 들여쓰기 if 조건문 : 바로 다음 문장부터 if 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해야 한다. if 조건문 :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수행할_문장3 수행할_문장 중 하나라도 들여쓰기하지 않으면 오류가 난다. 들여쓰기는 언제나 같은 깊이로 해야 한다. 3).. 2024. 3. 14.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자료형 4 1. 불(Bool) 참(True),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 True, False는 파이썬의 예악어로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1) 사용 a = True b = False print(type(a)) print(type(b)) 출력 : 출력 : type(x)는 x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 print(1 == 1) print(2 > 1) print(2 < 1) 출력 : True 출력 : True 출력 : False 2) 자료형의 True, False 자료형에도 True, False의 값을 가지고 매우 중요한 특징이며 실제로도 자주 쓰인다. 값 True 또는 False "python" True "" False [1, 2, 3] True [] False (1, 2, 3) True ().. 2024. 3. 14.
[SK shieldus Rookies 19기][Python] - 자료형 3 1. 딕셔너리(Dictionary) 단어 그대로 '사전',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가지는 자료형 Key = soccer일 때, Value = "축구" 딕셔너리는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으로 해당 요솟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 딕셔너리 안에 Value는 같은 값이 들어갈 수 있지만 Key는 딕셔너리에서 식별자로 사용되어 유일해야 한다. soccer의 뜻을 찾을 때 사전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모두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soccer 단어가 들어 있는 곳만 보는 것이다. 1) 생김새 dic = {'name' : 'park', 'phone' : '010-9999-8888', 'birth' : '0101'} Key, Value의 쌍 여러 개가 중괄호({})로 묶여 있다. 각각의 요.. 2024.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