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S2 [SK shieldus Rookies 19기][애플리케이션 보안] - WebGoat, Bee box, BeEF, XSS, CSRF 1. BeEF를 이용한 XSS 공격 1) 설치 및 실행 (1) 설치 sudo apt install beef-xss 입력으로 설치 (2) 실행 sudo beef-xss 입력 실행 처음 실행하면 기본 비밀번호 재 설정을 해야 한다. 각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넘어가면 127.0.0.1:3000 주소로 BeEF 페이지가 열린다. ID에는 beef를 입력하고 각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2) XSS 공격 (1) XSS - Stored(Blog) 이전 포스팅에서 스크립트로 공격했던 페이지에서 BeEF로 공격 실습한다. (2) hook.js Kali 가상머신에서 XSS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게시판에 hook.js 파일을 실행하는 글을 등록한다. (3) BeEF 확인 BeEF 콘솔에서 스크립트 코드.. 2024. 3. 31. [SK shieldus Rookies 19기][애플리케이션 보안] - WebGoat, Bee box, XSS 1,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XSS : Cross-Site Scripting) 공격자가 전달한 스크립트 코드가 사용자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 1) 공격자가 전달한 스크립트 코드 사용자에게 가짜 페이지를 제공하고 입력을 유도해서 사용자 정보를 탈취 사용자 브라우저 또는 PC에 저장된 정보를 탈취 브라우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플러그인의 취약점 활용 사용자 PC의 제어권을 탈취해서 원격지에서 해당 PC를 제어 BeEF 2) 유형 (1) Stored XSS(저장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공격자가 입력한 스크립트 코드가 취약한 서버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조회 시 저장된 스크립트 코드가 그대로 사용자 브라우저로 전달되어 실행 공격자가 게시판이 글을 쓸 때 를 입력하면 저장 페이지로 전달되어 그대로 DB에 저장된다... 2024. 3. 30. 이전 1 다음